반응형

 

 

 

프리세일을 성황리에 마친 

 

메디토큰(MEC)이 코인레일에 상장합니다.

 

https://coinrail.co.kr/cs/notice/detail/75

 

 

 

12월 20일(시간미정)에 상장 예정이며,

 

MED/BTC 로 거래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의료쪽과 블론체인을 결합한 굉장히 유망한 토큰이라고,

 

몇일전에 포스팅 했었는데요.

 

기대되는 코인 중 하나입니다.

 

눈여겨 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2017/12/16 - [나머지 코인들(가나다순)/메디블록(MED)] - 메디블록(MED) 토큰이란? 2018년 유망코인

 

반응형
반응형

 

 

아인스타인늄의 결전의 날이 임박해 오고 있습니다...

 

드디어 내일인데요...

 

한국시간이 표준시 +9 라서,

 

내일 늦은 오후나, 새벽쯔음에 발표가 있지 않을까 예상합니다.

 

 

트위터에서는 오직 트위터에서만 뉴스를 알릴것이라고 하였으니,

 

트위터를 주시해야겠습니다.

 

 

 

오늘은 퀀텀이나 파워렛저 등 꽤나 많은 알트코인들의 펌핑이 있었던 날이었죠?

 

 

내일 cme 비트코인 상장도 하는날이라서...

 

어떻게 될지 한치앞도 모르겠네요.

 

cboe 보다 cme가 수배 더 큰 규모라서...

 

어떠한 파장을 일으킬지는 모르겠지만...

 

 

보고만 있어도 영화보는듯한, 역사의 한 장면을 보는듯합니다.

 

2017/12/18 - [나머지 코인들(가나다순)/아인스타이늄(EMC2)] - 아인스타이늄이 심상치 않습니다...(EMC2 to the moon?)

2017/12/02 - [나머지 코인들(가나다순)/아인스타이늄(EMC2)] - 아인스타이늄(EMC2) 호재정리

 

반응형
반응형

 

 

 

 

카르다노 에이다(Cardano ADA) 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볼까 합니다.

 

 

기본적인 정보입니다.

 

본사(IOHK) - 홍콩, Cardano 재단 운영 및 관리

 

2015년 개발 시작

 

2017 10월 최초 발행

 

총 발행 한도 : 45,000,000,000 (450억개)

(현재 60% 이상 발행, 일부는 재단 관리)

 

ADA 코인 프리세일 - 1차/2차 일본(200억) / 3차 아시아 / 4차 전세계, 총 756억원

 

2016년 ICO(4차) 가격 : 0.0026$ (3원)

 

ADA 의 어원 : 인류 최초 프로그래머인 에이다 러브레이스 를 본땀

(9세기 영국 귀족 여성)

 

ADA는 Cardano 플랫폼의 기본 화폐 단위.

 

 

 

 

에이다는 금융 및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으며,

 

하스켈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축된 최초의 블록체인으로 3세대 가상화폐입니다.

 

여러 코인들이 자신이 3세대 코인이라고 주장하지만,

 

저는 ADA 는 분명하게 3세대라고 말 할 수 있습니다.

 

 

에이다는 합의에 의해 나아가는 코인이며, 

 

하드포크를 진행하지 않고, 소프트포크를 통해 나아갑니다.

 

에이다의 소유권에 따른 의견 수렴을 통하여,

 

민주적인 변화를 추구하죠.

 

 

 

 

 

카르다노 의 철학

 

카르다노의 홈페이지에 가면 나름의 철학이 있습니다.

 

카르다노는 하나의 국가/세력 등에 편향되지 않고 중립적인 자세를 취할것이며,

 

평등 및 평화적인 자세로 운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세계의 모바일 보급화의 가속화에 맞춰서,

 

모바일서비스에 중점을 맞춰서 제공한다고 합니다.

 

 

 

일본에게 가상화폐란?

 

일본은 상대적으로 꽤나 보수적인 국가이며,

 

2017년 4월에 비트코인을 공식적으로 화폐로 인정하였습니다. 

 

화폐로 인정함과 동시에 규제와 지원을 병행하고 있죠.

 

일본인들의 특성상 한 번 인정한것은 번복하지 잘 번복하지 않습니다.

 

일본인들의 투자성향에 있어서도 한국인의 단타.투기 성향과는 정반대로,

 

우직하니 투자하는 스타일 입니다.

 

(물론 case by case 입니다, 주로, almost 의 관점)

 

즉, 에이다를 인정한 순간, 오랜기간 함께 할 것 이라는 것이죠.

 

 

 

 

기술적 특징

 

1세대 블록체인 - 비트코인과 같은 화폐에 충실한 코인

2세대 블록체인 - 이더리움과 같은 추가적인 기능 부여한 코인

3세대 블록체인 - 고유의 틀 안에서 변화를 인정하는 코인

 

 

에이다는 이에 비추어 볼때 3세대 블록체인 응용 플랫폼에 만족합니다.

 

또한 POS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안정성이 입증된 Ouroboros(우로보로스) 프로토콜을 채택하였습니다.

 

우로보로스(Ouroboros) - 세계적인 암호학 학술회의 Crypto 2017 에서 학술적 

안정성을 입증한 최초의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채택되었습니다. 

 

 

 

또한, 프로그래밍 언어 중 가장 난해하면서도 높은 안정성으로 평가받고있는 

 

함수형 언어인 하스켈(Haskel)로 구축되었습니다.

 

하스켈로 구축된 프로그램은 앞으로 5년후 나올것이라는,

 

양자컴퓨터의 등장에도 해킹에 안전할 수 있는 언어입니다.

 

즉, 5년후 양자컴퓨터의 등장으로 보안에 힘을 실어야 할때,

 

ADA는 가만히 있으면 됩니다.

 

 

또한, 스마트 컨트랙트는 내년 상반기쯔음 기점으로하여 개발중이라고 합니다.

 

 

 

Cardano EcoSystem

 

 

카르다노의 안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더욱 놀랍습니다.

 

네트워크 스택과 모바일 스택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각은 3개의 레이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분리된 구조로 설계된 카르다노는, 비트코인과 같은 코인들이 직면한,

 

사양변경의 번거로움 해소를 위해 모듈화되어 있는 구조를 바탕으로,

 

유연하고 용이한 발전 및 개선이 가능한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더 자세히 파고들면 논문이 될 것 같은 기분이..)

 

 

 

 

카르다노의 막강한 개발진에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Charles Hoskinson : IOHK 최고경영자, 28세 천재 수학자, 비트코인 개발진, 

이더리움 공동 개발자 및 CEO 역임, Bitshare 개발 등등

 

Nikos Bentenitis : IOHK COO(최고 운영 책임자), 물리박사, CoinSimple 창립자, 대학교수

 

 

 

에이다는 이밖에도 일본 전역에 ADA ATM 보급을 추진중이며,

 

직불카드도 존재한다고 합니다.

 

2020년 도쿄올림픽을 앞두고 여러가지 준비설도 돌고 있더군요.

 

카지노와의 연관성도 있어 보입니다.

 

또한, 다음 로드맵 발표까지는 약 18일 정도 남았습니다.

 

아직 세상에 나온지 얼마 안된 코인입니다.

 

하지만 벌써부터 이렇게 주목받고 있으며, 지속적인 펌핑으로 

 

가격이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가고 있죠.

 

허나, 지금의 가격이 미래에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금액일 수 있습니다.

 

앞으로의 미래가 굉장히 기대되는 코인입니다.

 

현명한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

 

 

 

Cardano 백서 : https://whycardano.com/

IOHK-Cardano Page : https://iohk.io/projects/cardano/

IOHK Twitter : https://twitter.com/InputOutputHK

Cardano foundation Twitter : https://twitter.com/CardanoStiftung

 

 

 

혹시 수정해야할 부분이나 덧붙여야 할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아래 공감버튼(♡)은 응원이됩니다. 

 

스팀잇에서도 제 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_^

https://steemkr.com/@sweet-talk

 

 

2017/12/18 - [Coin/About Coin] - POS와 POW 란? 코인발행방법에 따른 분류

2017/12/18 - [나머지 코인들(가나다순)/아인스타이늄(EMC2)] - 아인스타이늄이 심상치 않습니다...(EMC2 to the moon?)

2017/12/17 - [나머지 코인들(가나다순)/트론(TRON)] - 트론 호재 정보, TRON 전망

2017/12/16 - [나머지 코인들(가나다순)/메디블록(MED)] - 메디블록(MED) 토큰이란? 2018년 유망코인

 

 

반응형
반응형

아인스타이늄이 250원일때부터 지켜보던 녀석인데...

 

몇일동안 횡보하면서 가끔씩 펌핑하다가 제자리로 가곤 하는 녀석인데요 ..

 

심상치않습니다...

 

 

 

 

어느 누구도 EMC2와 대적할 수 없다.

 

 

부터 시작해서..

 

 

 

19일 mind-blowing announcement 까지...

 

어떤호재가 있을지 기대하면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습니다. 

 

 

 

 

아까 찍어둔 업비트-아인스타이늄 60분봉 그래프인데,

 

저점 이쁘게 다지면서 횡보하는게 크게 한 탕 할것만 같은 느낌이 자꾸만 듭니다...

 

두근두근... 

 

 

(개인적인 느낌이니 ... 참고만 하세요! 

이글을 토대로 투자하시는 일은 없으시길!)

반응형
반응형

스테이터스네트워크토큰(SNT)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름부터 몹시 깁니다.

 

다들 슨트 혹은 스테이터스 정도로 줄여서 부르시더군요.

 

여기서는 'SNT'로 부르도록 하겠습니다.

 

 

 

SNT는 이더리움 기반 메시지 플랫폼 입니다. 

 

제목에서는 어그로를 끌기위해 코인이라고 불렀지만,

 

사실 SNT는 코인이 아닌 토큰입니다.

 

뭐 요즘은 경계가 굉장히 모호해 졌긴 하지만,

 

둘을 나누는 가장 간단한 것은,

 

다른 블록체인에 기반을 두느냐 입니다.

 

SNT의 경우 자체 블록체인이 아닌,

 

'이더리움' 기반 이므로 토큰에 해당되는 것이구요.

 

 

 

SNT는 이더리움 플랫폼에서의 모바일쪽을 전담하고 있는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SNT는 오픈소스로, 누구든지 dApp 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해줍니다.

 

 

또한, SNT는 중앙화된 서버가 아니라, P2P로 메세지를 전달하기에,

 

해킹으로부터 보다 안전합니다.

 

더 나아가서 기본적으로 암호화해서 메시지를 보내기때문에,

 

강력한 보안의 메세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최근 2틀사이에 두배가 넘는 급등한 덕분에,

 

현재 마켓 캡(market cap)은 34위 랭크되어 있습니다.

 

 

SNT는 12월중 지갑생성 계획이 있습니다.

 

나름의 호재지만, 이렇다할 호재는 딱히 없어보입니다.

(제보 부탁드려용)

 

 

 

이더리움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것이 발목을 잡을지, 날개를 달아줄지는 모르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좋게 보입니다.

 

일희일비 하지 않고, 장기적으로 투자하신다면 좋을것 같습니다.

 

 

백서 https://status.im/whitepaper.pdf

트위터 https://twitter.com/ethstatus

 

 

혹시 수정해야할 부분이나 덧붙여야 할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아래 공감버튼(♡)은 응원이됩니다. 

 

스팀잇에서도 제 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_^

https://steemkr.com/@sweet-talk

 

반응형
반응형

포스팅 할 거리는 너무너무 많은데...

 

할 일도 많고, 몸뚱아리는 한개라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리플코인은 금융거래를 위해 만들어진 코인입니다. 

 

리플코인은 채굴이 불가능한 코인이며, 총 천억개가 발행되어 있죠.

 

굉장히 많은수의 코인이 발행되어 있어,

 

몸집이 굉장히 무거운 편입니다. 

 

그래서 한동안 200원대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었으며,

 

여러 패러디 짤들을 무수히 방출한 코인이죠.

 

대표적으로는 리또속(리플에게 또 속았다, 잠깐 반등한것에 대한 기대감-> 실망감)이 있습니다.

 

 

리플을 매개로 전 세계의 화폐를 수초내에 송금 할 수 있어,

 

혁신적인 실시간 통화 거래가 가능합니다.

 

 

현재는 주로 은행간 이체서비스에 집중중이며,

 

전 세계 주요 금융권 75개가 참여 중이라고 합니다.

 

 

 

다음으로는 

 

리플 코인의 호재 그리고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잠잠하던 리플코인이 12월을 기점으로 조금씩 꿈틀 거리더니,

 

기어코 터졌습니다.

 

 

업비트 기준 최고점 994원을 달성하였으며, 현재는 850원대에서 횡보하며,

 

잠시 추스리고 있는 모습인데요.

 

 

이렇게 폭발한데에는 여러가지 호재가 작용했습니다.

 

 

먼저, 리플 코인의 일부를 '에스크로 락업' 한다는 소식이 있었습니다.

 

리플의 총 발행량 천억개중에 55%를 기관에 맡기는 형식으로하여

 

'묻어둔다' 정도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사실 근데, 시장에는 별로 영향을 끼칠만한 작업이 아닙니다.

 

리플사에서는 천억개중 62%를 보유하고 있었고,

 

그 중에서 55%를 락업 한다는 소식이었으니,

 

현재 시중에 유통되는 38%에는 영향을 미칠수가 없지요.

 

 

하지만, 그래도 락업의 취지가 리플사에서 너무 많은 코인을 보유하고 있어서,

 

'투명성을 저해하는 것이 아니냐' 에 따른 조치이므로,

 

신용도 상승에 따른 시장의 기대감 상승 정도가 반영되었다 정도로 판단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일본과 한국이 리플을 통해 외환송금을 할 예정이라는 소식이 있었습니다.

 

SBI Ripple Asia 주관으로,

(SBI : Soft Bank Investment 그룹에서 파생되어,

SBI그룹과 Ripple이 아시아 내에서의 리플 기반 송금 사업을 위해 합작 설립한 회사)

 

일본은행 30여곳과 한국의 신한은행, 우리은행이 리플 기반 외환 송금을 한다고 하더군요.

 

12월 15일부터 1월 31일까지 최종 테스트를 진행한다고 합니다.

 

리플이 점점 더 금융권에서 인정을 받고 있는 모습입니다.

 

 

 

 

또한, 12월 31일 에는 xRapid 와의 파트너쉽 발표가 있을 예정입니다.

 

xRapid 는 결제업체이며, 리플에 유동성을 제공합니다.

 

 

 

 

 

Ripple.com

 

 

리플 홈페이지에 있는 협력업체 들입니다. 

 

 

 

하지만, 이런 밝은 전망에 대해 우려의 입장을 표명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에스크로 락업 된 코인들에 대한 내용인데요,

 

취지는 리플의 공급량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550억개의 락업된 코인들 중 매달 10억개씩을 은행간 송금에 사용한다고 합니다.

 

이에 여러가지 의문을 품는 사람들이 있는것 같습니다.

 

매달 풀리는 10억개의 코인이 시장에 투입이 안될것인가?

 

 

 

 

어느 것 하나 분명한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리플의 가치를 알아본 여러 기업과 기관, 정부에서는

 

리플에대해 지속적인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조만간 1달러는 물론, 2달러도 가능해 보이네요.

 

개인적인 생각일 뿐이구요, 투자에 항상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혹시 수정해야할 부분이나 덧붙여야 할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아래 공감버튼(♡)은 응원이됩니다. 

 

스팀잇에서도 제 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_^

https://steemkr.com/@sweet-talk

 

 

반응형
반응형

트론의 앞으로의 전망, 호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트론은 현재 정확하게는 아직 코인이 아니라 토큰입니다.

 

가장 간단한 차이점으로는,

 

토큰은 다른 블록체인 기반을 기술로 이용하지만,

 

코인은 자기의 고유 블록체인에 기반을 둡니다.

 

트론은 현재 이더리움 기반 플랫폼에 있죠.

 

 

몇 일 전만해도 2원이었던 트론(Tron,TRX) 토큰이,

 

현재는 50원에 육박하는 가격대를 형상하면서,

 

거래량이 급증하면서 171217 기준

 

 

 

마켓 캡(market cap)(=시가총액) 16위,

 

거래량(trading volume) 9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해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폭주도 이제 시작인것 같습니다.

 

 

앞으로의 빅 뉴스들이 많이 남았기 때문인데요,

 

 

 

 

 

 

 

먼저, 포스팅하는 오늘이죠 12월 17일에 몇몇의 큰 파트너쉽 관련 공지가 있을 예정입니다.

 

항간에는 알리바바와의 파트너쉽이라고도 많이 돌아다니고 있는데요,

 

위의 트위터에서 13일에 뜬금없이 "딱" 하고 "알리바바"의 마윈회장과 찍은 사진을 기재하였습니다.

 

(트론 대표가 마윈과 사제지간이라는 소문이 있습니다.)

 

사실이라면 이제 트론은 십원단위에서는 다시 보지 못할것 같습니다.

 

마윈과의 사진을 올린지 하루뒤에는 다시 한 번 

 

사진 한장을 떡하니 올려놓고는 누군지 맞춰보라고 합니다.

 

그렇습니다. 이번에는 "레노버" 회장님이십니다.

 

그래서 현재까지 대형파트너쉽은 알리바바 + 레노버 이지 않을가 다들 추측하고 있죠.

 

 

또한, 트론 대표가 만든 1000만 사용자의 Peiwo app

 

2000만 사용자의 Gifto 와의 파트너쉽은 이미 체결되었다고 하네요.

 

 

 

12월 29일에는 "Exodus" 라는 이름을 가진 소스코드를 배포합니다.

 

또한 같은날에 Smart contractDapps 플랫폼 오픈소스 관련 소식도 있습니다.

 

 

코인 일정표 상에는 1월 10일에 코인소각이 예정되어있는데,

 

validation 이 그리 높지 않은것으로 보아서는,

 

공신력있는 정보는 아닌것 같습니다. 

 

 

또한, 내년 1분기 혹은 1월 중순쯔음에 메인넷 런칭을 앞두고 있다고 합니다.

 

현재 토큰인 트론이 코인으로 승격되는 것이죠.

 

보통 메인넷 런칭은 꽤나 큰 호재거리가 아닐 수 없습니다.

 

 

지난 베이징의 한 방송에서는 (800만명정도의 시청장)

 

1월 초에는 한국의 다른 거래소에도 상장된다는 말을 하였다고 합니다.

 

12월말에 업비트 상장 찌라시도 돌고 있던데...

 

정말 무서운 상승력이 아닐 수 없습니다.

 

 

중국의 거대 자본이자 bitmain 의 대표 우지한도 

 

트론의 엔젤 투자자로 들어와있다는 소식도 있네요.

 

 

 

트론의 대표인 저스틴선(Justin Sun)은 

 

리플개발진에 있었으며,

 

최근에는 전세계 영향력있는 30인에 선정되기도 하였습니다.

 

굉장한 수재에, 광범위한 인맥또한 트론의 가치상승에 반영되는것 같습니다.

 

실제로 알리바바의 마윈과는 굉장히 돈독한 사이이며,

 

제 2의 마윈이라고 불리우기도 하는 저스틴 입니다.

 

또한, 우지한과는 대학동문이며 이제는 트론의 든든한 투자자이기도 하죠.

 

 

CEO의 적극적인 홍보자세도 굉장히 높이 평가할만 합니다.

 

하루에도 몇개국씩 왔다갔다하며

 

(중국 - 홍콩 - 한국 등)

 

자사의 코인 홍보에 열심히인 모습입니다. 

 

 

 

 

2시간전 올라온 트윗에서는 굉장히 호기로운 모습까지 보이곤 합니다.

 

"If we can not get listed on the TOP 1 exchange, 

we make the one we get listed to be the TOP 1 exchange"

 

1등 거래소에 상장될 수 없다면, 만들어 버리겠다 이건가요? ㅋㅋㅋ

 

 

 

앞으로의 횡보가 매우매우 기대됩니다.

 

 

 

 

## 현재 트론은 코인네스트에서 거래 가능합니다.(한국거래소)

 

 

 

 

혹시 수정해야할 부분이나 덧붙여야 할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아래 공감버튼(♡)은 응원이됩니다. 

 

스팀잇에서도 제 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_^

https://steemkr.com/@sweet-talk

 

반응형
반응형

 

 

 

버트코인(VTC) 의 아주 귀여운 호재?거리 입니다. ㅋㅋ;

 

 

버트코인은 12일 호재소식에 힘입어서 2주 정도 꾸준히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다가,

 

12월 7일을 기점으로 조금씩 우하향하는 차트를 그리고 있는데요,

 

20시간전에 의미심장한 트윗 하나가 올라왔습니다.

 

 

외국은 현재 저녁 6시이니, 

 

'tonight' 까지 얼마 남지 않았군요.

 

 

기대됩니다. 무슨소식일지... 

 

 

반응형
반응형

 

 

 

몇일전에 알게 된 토큰인데요,

 

굉장히 유망한것 같아 포스팅해봅니다.

 

 

이름은 '메디블록(Medi Block)', 혹은 '메디토큰(Medi Token)'

 

이라고 불립니다.

 

메디블록은 '탈 중앙화' 된 플랫폼이며,

 

이 플랫폼에서 사용될 암호화된 토큰이 오늘 알아볼 메디토큰(MED) 입니다.

 

 

 

메디블록은 블록체인의료정보 플랫폼을 결합하였습니다.

 

 

 

 

 

메디블록을 통해 소비자는 자신의 의료정보를 온전히 소유 가능합니다.

 

또한, 블록체인의 뛰어난 보안성으로 인해 안전하게 보호됩니다.

 

 

 

 

메디블록을 통해 굉장히 빈번한 의료계의 중복진찰 이라던가,

 

여러 불필요한 절차들을 간소화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또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Database를 통해,

 

기존의 정보수집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습니다.

 

또한, 광범위한 Database를 통해 표본의 크기를 확대하며,

 

이는 분명 의학발전에 기여할것임에 틀림없습니다.

 

 

 

또한, 이러한 메디블록 플랫폼을 사용한다면,

 

자신의 진료기록 등의 정보를 자신이 소유하게 되고,

 

권한을 행사하는 것도 가능해집니다.

 

 

예컨데, 의료연구에 데이터를 제공하여 토큰을 보상으로 받을 수도 있습니다.

 

 

 

현재의 많은 의료시스템의 문제점도 개선될 수 있습니다.

 

 

- 의료연구를 위한 정보요구는 증가하지만, 데이터의 공급은 현저히 부족한 상황입니다.

 

- 분산된 의료 데이터들은 활용을 하기 어려운 현실에 처해있습니다.

 

- 의료기관을 중심으로하는 데이터 관리체계는 현재도 환자들에게 많은 불만을 사고있으며,

투명성이 떨어지고, 해킹 등의 리스크를 안고있습니다.

 

- 이러한 해킹의 위험은 미국내에서만 1억 1200만개가 넘었으며, 

이로인한 손실액은 매년 7조원을 넘는것으로 보고 되었습니다.

 

- 의료정보 교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경우, 

응급실에서의 여러 검사를 50% 이상 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메디블록은 총 3개의 레이어(layer)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Core 레이어

-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분산 데이터베이스이다.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은 매우 한정적이기 때문에 의료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저장소가 필요하고, 이를 Core 레이어에서 제공한다. 

 

(2) Service 레이어

- Application 레이어, Core 레이어를 연결하고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모든 핵심 기능을 제공한다. 내부적으로는 크게 EVM(Ethereum Virtual Machine)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컨트랙트, 그리고 Application과 Core를 연결해주는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EVM 이란?

 

(3) Application 레이어

- 메디블록 플랫폼을 통해 의료정보를 관리하고 이를 활용하는 모든 응용프로그램들이 여기에 속하며 모바일, 앱, 웹 등의 환경에서 구동되는 모든 형태의 응용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앱 개발을 좀 더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도록 SDK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 응용프로그램들은 Sercive 레이어를 통해 플랫폼 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메디블록 플랫폼의 구성요소

 

  • 메디블록 플랫폼은 EVM 기반의 탈중앙화 응용프로그램이다. 
  • EVM기반으로 개발을 한다는 것은 이론적으로는 이더리움 뿐만 아니라, EVM을 지원하는 퀀텀이나 EOS 와 같은 여러가지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모두 실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여러가지 블록체인 플랫폼의 기술적 여건에 따라 메디블록을 실행할 수 있는 플랫폼을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플랫폼 블록체인 중 퀀텀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장점을 모두 차용하면서도 POS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등, EVM을 지원하는 플랫폼 중 현재 가장 빠르게 확장성을 갖추고 있는 플랫폼이다. 이에 메디블록은 퀀텀을 메인 플랫폼으로 사용한다.
  • 메디블록은 상대적으로 용량이 큰 개인 신상정보, 의료정보 등은 블록체인 외부에 암호화한 형태로 저장하고 그에 대한 해시값만 블록체인에 기록한다.
  • 데이터 저장소로는 InterPlanetary File System을 기초로 하여 구성한 탈중앙화 저장소를 사용한다. (Ex. Storj)

 

 

 

메디블록은 장래가 굉장히 유망한 코인인것은 분명합니다. 

 

사이트에서 로드맵을 보면 2018년 겨울 정식으로 출시한다고 하는군요.

 

프리세일은 어제(2017년 12월 15일) 까지 였더군요...

 

일찍 못전해드려서 죄송할따름입니다...ㅠ 

 

 

코인레일(https://coinrail.co.kr/intro) 에서 3차 프리세일을 진행하였으며,

 

12월 20일에 코인레일, 게이트, 빗타이 거래소 상장된다고 합니다.

 

혹여나, 이글을 보고 메디블록 거래를 위해 코인레일에 가입하신다면,

 

추천인 코드에 mXFFnC 적으시면,

 

저와 신규가입자 모두  500Krw 추가로 받으실 수 있습니다... 하핫...

 

감사합니다... ㅋㅋㅋ

 

 

 

글을 쓰면서 느끼는건데, 제가 돈이 좀 많았더라면,

 

프리세일기간에 올인했을것 같습니다

 

제 개인적인 판단은 그렇구요...

 

미래가 유망한 코인인것 같습니다.

(개발진도 짱짱맨들)

 

 

메디블록 사이트 https://medibloc.org/ko

참고자료 https://steemit.com/medibloc/@ryugihyeok/medibloc-whitepaper

 

 

 

 

 

 

혹시 수정해야할 부분이나 덧붙여야 할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아래 공감버튼(♡)은 응원이됩니다. 

 

스팀잇에서도 제 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_^

https://steemkr.com/@sweet-talk

 

2017/12/16 - [주류코인들/이더리움(ETH)] -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 Ethereum Virtual Machine) 이란?

 

반응형
반응형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 Ethereum Virtual Machine)(이하EVM)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EVM은 이더리움의 핵심 개념중 하나입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가상의 머신인데요.

 

이더리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들이 공유하는 하나의 가상머신 이라고 

 

나름 풀어서 설명할 수 있겠습니다.

 

거대한 분산 컴퓨터이죠.

 

 

네트워크상의 수많은 노드들은 이 거대한 가상 머신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안에있는 자료들도 바꿀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많은 사람들이 수정을 하게 된다면

 

충돌이 일어날것임은 분명합니다. 

 

이런 충돌을 중재하는것이 EVM의 중요한 역할입니다.

 

 

 

 

위의 그림을 이해하기 위해서 더 자세히 들어가보겠습니다.

 

이더리움에는 '솔리디티(Solidity)'라는 컴퓨터 언어가 사용됩니다.

 

자바와 굉장히 흡사한 구조를 띄고 있습니다.

 

솔리디티는 사람이 이해할 수 있게끔 만들어진 언어입니다.

 

'고급언어(high-level languauge)'라고 하는데요,

 

Java, C, C++ 등을 고급언어라고 합니다. 

 

솔리디티또한 이에 속합니다.

 

 

 

이런 고급언어들은 기계들이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machine languauge)로 

 

변경되어야 하는데요, 이는 솔리디티 컴파일러에 의해 

 

변경이 됩니다. 컴파일러에 의해 기계어로 쓰여진 코드를

 

이더리움 바이트코드(Ethereum Bytecode) 라고 부릅니다.

 

 

이렇게 변경된 이더리움 바이트코드를 EVM에서 실행하게 되는것이죠.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EVM,

 

하지만 누구나 아무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다면 많은 문제들을 야기 할 수 있을텐데요,

 

예컨데, 스팸성 코드를 삽입한다던지, 혹은 

 

불필요하게 사용한다던지... 

 

이런 문제들을 예방하기 위해 일정 비용을 지불하게 설계하였습니다.

 

Gas 라는 개념인데요, 

 

'EVM에서 실행되는 일의 단위' 정도로 생각하시면 편할것같습니다.

 

이렇게 Gas를 도입함으로써, 

 

악성 스패머도 방지하지만, EVM이 무한 루프 도는것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즉, EVM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작업의 크기만큼 Gas를 측정하여 ETH로 지불합니다.

 

 

 

참고자료

https://opentutorials.org/course/2869/18360

https://steemkr.com/kr/@tenihil/introducing-ethereum-and-solidity-3

 

 

혹시 수정해야할 부분이나 덧붙여야 할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아래 공감버튼(♡)은 응원이됩니다. 

 

스팀잇에서도 제 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_^

https://steemkr.com/@sweet-talk

 

반응형

+ Recent posts